7. 無得無說分 (무득무설분)
7 無得無說分 (무득무설분)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 得 阿耨多羅三藐三菩提耶. 如來 有所說法 耶. 須菩堤言, 如我解佛所說義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득 아뇩다라삼먁삼보리야. 여래 유소설법 야. 수보리언, 여아해불소설의
無有定法 名 阿耨多羅三藐三菩提, 亦 無有定法 如來可說. 何以故. 如來所說法 皆不可取 不可說
무유정법 명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역 무유정법 여래가설. 하이고. 여래소설법 개불가취 불가설
非法 非非法, 所以者何. 一切賢聖 皆以無爲法 而有差別.
비법 비비법, 소이자하. 일체현성 개이무위법 이유차별.
얻은 것도 없고 말할 것도 없다.
"수보리야, 여래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느냐?
여래께서 설명한 법이 있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대답하기를,
" 부처님께서 설명하신 뜻을 제가 이해하기에는 일정한 법이 있는 것이 아니며,
그 이름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입니다.
또한 일정한 법이 없는 것도 아님을 여래께서 설하셨습니다.
왜냐하면 그 때 그때에 마음 닦아 본 중생에게 그것을 일러주고,
그것을 일러주다 보니 이렇게 여러 말을 하게 되었다는 말씀이시지,
실제로 어떠한 일정한 방법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또 법 아님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다른 상황에서 맞을 때엔 법도 되니까요.
그러기 때문에 모든 어진 사람이나 성인이 한량없는 방법으로써 차별을 내심입니다.
7. 얻을 것도 설할 것도 없음
수보리야 그대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느냐?
또 여래가 설한 법이 있다고 생각하느냐?
아뇩다라삼먁삼보리 = 무상정등정각(無相正等正覺), 가장 높고 깊고 바른 깨달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묻습니다. 내가 얻은 깨달음이 있느냐?
그리고 내가 설한 바 법이라는 것이 정말 있느냐? 하고요.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부처님께서 말씀한 뜻을 헤아리건데 일정한 법(無定法)이 없는 것을 이름지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오며, 또한 여래께서는 정한 바 없는 것을 가히 설하셨나이다.
금강경에서 아주 중요한 대목입니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부처님의 큰 깨달음이라는 말인데 이 깨달음이라는 것이 무엇이 있어서....
깨달을 무엇이 있어서 그것을 깨달았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고 '정할 수 없는 법' 을 깨달았을 뿐이며
무유정법이란 정할 수 없는 법입니다.
이렇다 저렇다....크다, 작다....길다....더럽다....깨끗하다....등등
단 하나라도 그것의 진실을 정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을 뿐
이것이 불법이다......이것이 진리이다.....하는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단지 병이 있을 때는 사용하되 이것이 영원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그래서 무유정법입니다.
정함이 없으라.....이것이 금강경의 또 하나의 큰 가르침입니다.
우리는 자꾸 정해요. 나는 부자다....행복하다....건강하다....나는 똑독하다....
옆집은 참 행복해.....우리는 불행해.....왜 우리는 맨난 이렇게 살아야 해....
저 사람처럼 살아야 되는 것 아냐?....
어떤 부부가 찾아왔어요. 그런데 부인이 저한테 남편을 옆에다 두고 불만을 말해요....
남편은 현재 농협은행에 근무하는 사람인데 책보는 것을 좋아해요...
그래서 직장 끝나면 바로 독서실로 갑니다. 그래서 12시까지 공부하다 와요.
승진시험하다가 승진하면....자격증....각종 자격증을 다 따놔요....
이것 해야하는데, 이것이 나중에 못쓰게 되면 저것 해야돼....
그런데 그것도 못쓰게 되면...이것을 해야돼 ....
그러다 보니 한번도 집에 편히 있는 날이 없어요.
애들도 크고...맨난 부인 혼자 집에서 독수공방....
아니, 결혼하면 어디 놀러도 나가고....여행도 같이 가고...
영화도 보고 아니면 집에서 같이 놀기라고 해야 하는데....
저녁에 술은 안먹는데 매일 12시에 들어와서 씻고 자기 바빠요....
그러니까 부인은 우울증....따분....운전 면허따고....검정고시 했다가.....
교리했다가 요리학원다녔다가....
혼자 춤배우러 다녔다가...나중에는 그것들도 시들해져서 불만이어요.
그런데 제가 그랫어요.
아니, 그 공부 하라고 해도 안하는 사람이 있는데 미래를 대비하니까 얼마나 좋습니까?
그것이 저 사람의 길이니까....막고 싸워도 안되니까 그냥 내버려두세요....
왜 자꾸 남의 인생에 비교합니까? 세상에 그 누구도 님의 가정과 똑같은 사람은 없어요.
그런데 누굴 비교합니까? 사람이 다 다르듯이 사는 것도 다르니까
다른 집의 분위기를 님의 집에다가 꼭 맞추려고 하지 말아요.
그것 시켜서 되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고 저절로 그렇게 하는 것이니까
그것이 님의 인생이요, 가정임다.....인생은 다 달라요.
남과 비교하고 그래서 우리집은 불행하다 이렇게 정하지 마세요.
언젠가 안그럴 날이 오기도 하고....
또 그것이 미래에는 오히려 칭찬할 것이 될지도 모르니까 그냥 사세요.....
꽃이 다르지만 다 이쁘듯이 집안 사는 것도 다 다르나 불행은 아닙니다. 달리 사는 것이지요.
그렇게 한참 말해주었는데 요즘도 그런지 모르겠어요.
일단 편안하게 절에 나옵니다. 그러니까 그런 집은 부인이 다른 일거리를 찾아야 해요.
남에게 의지하지 말고...남편에게도... 혼자 사는 사람도 있잖아요.
정하지 말고 사세요. 그냥 사세요. 그러면 행복해집니다.
부처님도 정하지 않고 항상 법을 설하셨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법은 다 이해할 수도 없으며 말할 수도 없으며 또한 법이 아니며
그 까닭은 모든 성현은 다 무위법(無爲法)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무위란 '함이 없다'는 말입니다.
해도 했다는 생각이 없는 것이 무위법임다
부처님이나 보살은 중생을 위하여 법을 설하지만 해도 전혀 했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도 없는데 누가 했습니까?
한 자도 없고, 한 것도 없습니다. 그래서 성현은 다 무위법을 써요.
밥먹고 있는데 누가 배고파 밥 달라하면 줘요.
그래서 겨우 얻어서 밥 먹는데 누가 또 달라해서 주었어요.
그래서 또 겨우 얻어서 먹으려고 했는데 또 누가 달래요. ...가만 보니까 이러다가 오늘 밥굶겠어요.
그러면 또 주어야겠어요? 안주어야겠어요.
주어야 합니다. 하루는 굶을 수 있어요.
그러나 3일은 곤란해요. 그런데 3일째 날, 누가 4일굶은 사람이 왔어요.
주어야 합니까? 말아야 합니까?
더 참을 수 있으면 참고 못참을 것 같으면 주지 말아야 해요.
그래야 주어도 준 것이 아니고 안주어도 안준 것이 아닙니다.
아무 생각없이 해요. 오직 현실만 봐요.
도인이 가는데 불이 났어요. 막 지붕이 무너질라고 하는데 집안에서 애가 천천히 울면서 걸어나와요.
이때 달려가서 구해야 해요? 가만히 있어야 해요?
위험하면 가지 말고 구하는 것이 가능하면 달려가세요. ^^*
도인이 설사 앞에서 애가 죽어도 못가는 것을 고민이나 자책하면 안되요.
위험한데 달려가면 두 사람이 죽어요.
그러니까 내 말은 도인이라고 무조건 희생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이럴 때 무위법을 모르면 고민해요.
도인은 무엇을 해도 했다 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안해도 안했다는 것이 없어요. ...
모든 것은 순리대로....살아요.....
그러니까 절이 아직 남아있고.....스님의 몸이 남아있지만 다 주어야만 한다면
절도 주어야 하고.....몸도 주어야 해요.....그러고 어떻게 불법을 펴겠어요?
여러분은 혹 도인이 애가 죽는 것을 보고만 있었다고 저것이 무슨 도인이냐고 절대 뭐라 하면 안되요.
불가능한 것은 불가능한 것입니다.
누가 무슨 일을 해도 그것은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니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따로 더 이상의 행은 없어요. 할수 있으면 하나 못하는 것은 못합니다. 이것이 도인이어요.
역사를 보아도 도인은 할 수 있는 있는 일만했어요. 부처님도 마찬가지고요.
불가능한 것은 안했어요. 못하는 것이지요.
도인의 행은 따로 이렇게 해야한다고 정하지 마세요. 판단은 각자 부처님이 알아서 합니다.
누구의 행도 나쁘다 좋다 평가하지 마세요.
설사 내게 나쁘게 했어도 나쁘다고 생각하지 마세요....이것이 무위입니다.
마음 속에서 아무 것도 하는 것이 없다.....이것이 무위입니다.
그래서 부처님의 법은 가히 말할 수 없고 생각할 수 없는 불가설 불가사의한 법이라고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