法身非相分 第二十六
須菩提(수보리)야 於意云何(어의운하)오 可以三十二相(가이삼십이상)으로 觀如來不(관여래부)아 須菩提言(수보리언)하되 如是如是(여시여시)니이다 以三十二相(이삼십이상)으로 觀如來(관여래)니이다 佛(불)이 言(언)하사대 須菩提(수보리)야 若三十二相(약삼십이상)으로 觀如來者(관여래자)면 轉輪聖王(전륜성왕)도 卽是如來(즉시여래)로다 須菩提(수보리)-白佛言(백불언)하되 世尊(세존)하 如我解佛所說義(여아해불소설의)컨댄 不應以三十二相(불응이삼십이상)으로 觀如來(관여래)니이다 爾時(이시)에 世尊(세존)이 而說偈言(이설게언)하사대 若以色見我(약이색견아)거나 以音聲求我(이음성구아)하면 是人(시인)은 行邪道(행사도)라 不能見如來(불능견여래)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가히 32가지 상으로서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그러하옵니다. 32가지 상으로서 여래를 뵐 수 있사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만일 32가지 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다면 전륜성왕도 곧 여래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뜻을 제가 아옵기로는 32가지 상으로써 여래를 뵐 수 없사옵니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일 모양으로 나를 보려 하거나 음성으로써 나를 찾는 이는 삿된 도를 행하는 사람이니 여래를 볼 수 없으리.』
第二十六 法身非相分- -법신은 상이 아니다
[科 解]
제26분에서는 법신(法身)은 거룩한 상, 즉 복상(福相)이 아니라는 도리를 말씀하시는 대문입니다. 우리의 참 마음이 곧 여래의 법신인데 이 참 마음자리는 선이니 악이니 복이니 죄니 하는 차별상이 떨어진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복을 지으면 복된 상을 받고 죄를 지으면 추한 세상에 나쁜 모습으로 태어나서 화를 받는데, 그러나 설사 아무리 복을 많이 짓고 아무리 거룩한 선행을 많이 해서 32상·80종호를 타고났다 하더라도 그 상만을 보고 여래를 식별한다는 것은 곧 현상계에 떨어진 것이고 생각·지식·망상에 집착된 중생경계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으로 여래를 찾으면 곧 사도를 하는 것이 된다.』고 말씀하셨던 것입니다. 그렇지만 또 상도 아니고 생각도 아닌 무상무위(無相無爲)에 열반적정에 가만히 앉아서 복도 짓지 말고 육바라밀(六波羅蜜)을 하지 말라고 하신 말씀도 아닙니다.
原 文 :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三十二相 觀如來不 須菩提言 如是如是 以三十二相 觀如來
[解 義] 『수보리야! 네뜻이 어떠하냐? 32상으로 부처님을 본다고 할 수 있겠느냐?』 부처님께서 수보리존자에게 이렇게 물으셨는데 청중(聽衆) 가운데 누가 한번 대답해 보십시오. 32상으로 부처님을 보겠습니까?
수보리존자님은 32상으로 부처님을 볼 수 있다고 이렇게 사뢰었습니다. 『그러하옵니다. 32상으로 여래를 뵈옵니다.』 제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에서 설명된 것처럼 일체법이 다 불법인데(一切法 皆是佛法) 왜 32상으로 부처님을 보지 못하겠습니까? 32상을 껍질로만 보니까 부처님을 못 보지 32상이 즉시 불법인 도리로 보면 곧 그것이 부처님입니다. 그런데 중생들은 천만억겁을 두고 겉으로만 보고 겉만 알기 때문에 부처님을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原 文 : 佛言 須菩提 若三十二相 觀如來者 轉輪聖王 卽是如來 須菩提 白佛言 世尊 如我解佛所說義 不應以三十二相 觀如來
[解 義] 『수보리야! 네 말과 같이 만일 32상으로 여래를 보는 것이라면 전륜성왕은 32상을 갖추었으니 그러면 그도 곧 여래겠구나.』
그러면 부처님께서는 왜 또 이렇게 안 된다고 하셨는지 그 내용을 알고 넘어가야지 말만 따라다녀서는 안 됩니다. 일체제법 개시불법(一切諸法 皆是佛法)인데 전류성왕만이 유독 불(佛)이 아니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전륜성왕은 인수(人壽) 2만세 때에 나타나서 온 세계를 통치하는 성왕(聖王)인데 보배수레를 타고 하늘을 날아다니므로 비행황제(飛行皇帝)라고도 하며 32상을 갖춘 아주 복이 많은 성왕입니다. 나이가 늘어나는 증겁(增劫) 때에는 이만세에서 나이가 줄어드는 감겁(減劫)때는 8만세까지 사이에 나타나는 복덕의 왕이고 성왕입니다. 일체중생이 다 불성이 있고 부처인데 어찌 전륜성왕이 부처가 아니라고 하겠습니까?
수보리존자님이 이에 대한 대답을 다음과 같이 사룁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바의 뜻을 아는 것 같아서는 32상으로 부처님을 뵐 수는 없사옵니다.』 그러니 앞에서 말한 말씀을 뒤집어서 수정을 합니다. 이때에 수보리존자님이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뜻」이란 곧 32상의 껍질만 보고서 부처를 볼 수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그대로 얼른 받아서 먼저의 말을 수정했던 것입니다.
原 文 : 爾時 世尊 而說偈言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解 義]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읊어서 말씀하시기를 『약이색견아(若以色見我) 어떤모양으로, 32상 80종호(三十二相 八十種好) 같은 겉모양으로 부처를 보거나, 이음성구아(以音聲求我) 다라니를 하거나 염불을 해서 부처가 될 것이라고 하거나 하면, 시인행사도(是人行邪道) 이 사람은 곧 사도(邪道)를 행하는 사람이고 정도를 하는 사람이 아니니, 불능견여래(不能見如來) 이런 사람은 천만 겁을 두고 공부를 해도 부처를 보지 못할 것이다.』 그러셨습니다. 그러니 부처님께서 떡이며 돈이며 갖다 놓고 불공을 하거나 참선하는 수좌(首座)들도 화두를 말로만 외는 사람도 있고 경을 봐도 글자에 매어 달려서 불법을 구하는 사람도 있지만 이런 사람은 다 견성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說 義]
전에 한 수좌가 조주무자(趙州無字) 화두를 하는데 「무! 무!」하고 소리 내어 외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이 화두의 뜻은 이렇습니다. 부처님께서 「온갖 것이 다 불성(佛性)이 있다」(有情無情 皆有佛性)고 하셨는데, 조주(趙州)스님이라고 옛날 중국에서 유명한 선지식에게 어떤 학인(學人)이 찾아와서 「개에게 불성이 있습니까?」하고 물었을 적에 <무>(無)하고 없다고 하셨으니 「도대체 무슨 뜻으로 <무>라고 하셨을까?」하는 화두입니다. 그런데 이 수좌는 「무! 무!」하고 소리를 내지 않으면 자꾸 다른 생각이 나기 때문에 어떤 때는 큰 소리까지 내어서 「무! 무!」합니다. 그러니 마지막에는 옆 사람 참선에 방해가 되므로 쫓겨나게 되었는데 할 수 없이 수좌는 걸망을 지고 이 절 저 절 다니다가 마지막에는 나무 꼭대기에 올라앉아서 혼자 참선을 하는데 밑은 깊고 험한 낭떠러지어서 떨어지면 즉사(卽死)하게 될 그런 데 올라앉아서 마음 놓고 「무! 무!」하며 참선을 합니다. 그러다가 이 사람이 결국은 견성까지 한 일이 있었습니다. 애를 쓰면 이런 정도로 애를 써야 합니다.
이 사람이 본래는 조그만 보따리장사였는데 만공스님 회상에 와서 법문을 듣고 우리의 마음이 그렇게 위대한 것이라면 생명을 걸고 한번 해 봐야겠다고 발심을 해서 깨쳤던 것입니다. 그런데 이 사람이 「무, 무」하고 소리를 내어 음성으로 부처를 구한 것 같지만 그러나 사실은 이 사람은 모양이나 말을 따라 부처를 구한 것은 아닙니다. 아둔해서 처음에 그랬지만 마음의 부처를 찾으려 한 수좌였습니다.
이렇게 견성을 해서 마음을 깨쳐 놓으면 32상을 갖추신 부처님께서 온갖 신통을 하시며 종로에 나타나셨다 하더라도 그래서 서울의 온 시민이 다 나와서 마중을 하시더라도 이 정도 된 사람은 왼눈 한 깜짝하지 않습니다. 이 마음 깨친 자리에서 보면 그런 부처님도 다 도깨비인데 거기 무엇 하러 갑니까? 이와 같이 근본 문제를 해결해 놓아야 부처님께서 고맙게 여기시지, 떡을 갖다 놓고 절을 하고 돈을 바치고 복을 많이 달라고 그래 봐야 불보살님은 고맙게 생각하시지 않습니다. 불보살님이 보인다고 기도하다가 도통했다고 하고, 참선하다가 일어나서 절을 하고 하면 이런 사람은 다 헛공부한 것이고 삿된 공부한 것입니다.
부처님 당시에도 제일 수제자(首弟子)인 가섭존자께서 본래 명문대가(名門大家)의 부잣집 아들이고 대학자 큰 인격자로 늦게 출가하신 분인데, 한번은 부처님께서 먼 데 어디 가셔서 설법해 주시고 한 달쯤이고 얼마쯤 계시다가 돌아오시게 되었는데, 그러면 대중들이 환희에 넘쳐서 모두 마중을 나갑니다. 그런데 가섭존자는 부처님 마중도 안 나가고 그대로 앉아 계십니다. 그러니 대중들이 한결같이 지탄을 합니다. 「가섭존자라는 이는 법도 모르고 어떻게 된 사람이냐?」하면서 대중들의 여론이 분분하게 됐습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대중들에게 이렇게 말씀 하십니다. 『너희들이 그런 불평을 하는 것은 다 법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너희들이 여래를 환영한다는 것은 도깨비가 도깨비를 환영하는 것에 불과하다. 가섭은 여래를 정말 존경할 줄도 알고 참으로 환영한 것이다.』 부처님께서 가섭존자를 이렇게 칭찬해 주셨고, 시방제불이 석가여래의 상수(上首)인 가섭존자 참 거룩하다고 칭찬하십니다. 그런데 사실 또 가섭존자께서는 이런 도리를 아시고 마중도 하시고 존경도 하시고 하니 거룩하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도리를 알고 참선도 하고 경도 보고 염불도 하고 그래야 하는데 이것이 잘못되어 염불도 안 하고 기도도 필요 없고 경도 참선도 할 것 없다고 하면 이것이 탈입니다.
'금강경(청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受不貪分 第二十八 (0) | 2018.09.11 |
---|---|
無斷無滅分 第二十七 (0) | 2018.09.11 |
化無所化分 第二十五 (0) | 2018.09.11 |
福智無比分 第二十四 (0) | 2018.09.11 |
淨心行善分 第二十三 (0) | 2018.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