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하는 것도 없고 멸하는 것도 없다.
공사상은 〈반야경〉에 기초를 둔 사상으로 중관학파(中觀學派, Madhyamika) 창시자 용수(龍樹, Nagarjuna, 150 ~250Common era·공통연호 경)에 의해 체계화됐다. 용수는 연기법이야말로 불타의 중심 교설이며 최상의 진리임을 밝히고있다. “모든 희론(戱論)을 적멸케 하는 연기법(緣起法; pratityasamutpada)은 모든 설법 중에서도 가장 수승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연기법을 설한 정각자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연기’라는 말은 사물은 반드시 원인에 의해 생겨남을 의미한다. 용수가 해석하는 연기론은 ‘어떤 원인에 인연하여 어떤 법이 있다’는 존재의 상호상의성(相互相依性)을 강조하는 입장이었다. 어떤 법도 인연을 따르지 않는 바가 없으니 일체법은 공하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이다. 월칭(月稱, Candrakirti)은 〈명구론(明句論, prasannapada)〉에서 ‘연기’의 어의를 “사물이 원인과 조건을 기다려, 즉 의존하여(apeksya) 일어난다”는 뜻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것이 곧 공의(空義)로서의 연기의 의미이다. 〈회쟁론(回諍論)〉에서 용수는 “제법을 연해서 존재하는 것이 공성(空性)이며 또한 무자성성(無自性性) 이라고 이른다”고 하여, 연기와 공성과 무자성의 논리 관계를 밝혔다. 이러한 연기·무자성·공의 논리가 용수가 해석한 연기와 공성의 관계의 주요 요지였다.〈반야경〉에서는 모든 존재는 본래 불생불멸(不生不滅)이라고 설한다. 사물이 생한다고 보는 것이나 멸한다고 보는 견해는 일상적인 언어에 의한 관념일 뿐 실제로 그 생멸에는 실체와 자성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연기 사상은 모든 존재 스스로의 창조나 다른 존재로부터의 창조는 있을 수 없음을 분명히 한다. 이러한 연기와 공의 원리는 인간뿐만 아니라 우주의 모든 요소를 유기적 인과의 조직 속에서 생성되게 하는 법칙인 것이다. 제법은 연기의 관계로써 존재하므로 공하다는 일체법공(一切法空)사상의 귀착점은 연기설의 근본 정신인 중도(madhyama-pratipada)와 이를 깨우치는 중관(madhyamika)사상에 있다.
이러한 연기와 공과 중도의 관계는 ‘중송’의 첫장에 이른바 ‘팔불중도(八不中道)’의 게송으로 설해져 있다. “생하는 것도 없고 멸하는 것도 없다. 영원한 것도 없고 단절됨도 없다. 하나도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니다. 오는 것도 없고 가는 것도 없다 (不生亦不滅 不常亦不斷 不一亦不異 不來亦不出).”이 여덟 가지 부정의 게송은 영원주의나 허무주의, 유물론이나 유심론 등 무엇이 먼저 존재한다는 모든 사상을 부정한다. 생함과 멸함이 본래 없다는 것은 종자와 싹의 생멸 관계를 예로 설명할 수 있다. 싹은 종자에서 오지만 싹이 되어도 종자는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종자 속에도 역시 싹이 내재되어 있었다. 이를 소급해 보면 그 이전의 식물은 끝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래 생이 없는 것이며 싹이 다시 종자가 되었을 때도 역시 그 식물은 소멸된 것이 아니므로 불멸인 것이다. 그러나 종자가 싹으로 변환되었을 때 그 종자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아니므로 불상(不常)이며 그렇다고 그 상속 작용이 끊어지지 않음으로 불멸인 것이다. 그것은 동일한 것도 다른 것도 아니다.또한 어디에서 온 것도, 다른 곳으로 가는 것도 아니다. 이를 시간적으로 보면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추상적인 시간을 초월하여 오지도 가지도 않는 것이다.
마치 바닷물이 바람의 인연으로 물결이 일었다가 다시 잔잔해지나 본래 바닷물은 생함도 멸함도 없는 것과 같다. 연기설은 상호 의존적 관계 외에 독립적인 존재의 생을 부정하며 무(無)로부터의 창조설이나 상응론(相應論)도 부정한다. 이 논리의 중심은 동일성과 상대성과의 딜레마를 연기설로 해명하는 것이다. 태어남은 오히려 태어나지 않음이며 멸함도 또한 멸함이 아니다. 원인에 의해 결과가 생긴다고 해도 원인이 그대로 결과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항상 하지도 않으며 끊어지는 것도 아니라고 하는 것이다. 대승의 연기관은 초기 불교의 두 가지 치우친 견해를 비판한 불이적(不二的) 중도정신을 계승한 것이다. ‘중송’ 에 설하고 있는 바와같이 “연기하는 것은 곧 공성이다. 그러나 이것은 인식을 위한 가상의 명칭(假名)일 뿐이며, 그 공성은 바로 중도(中道)이다(衆因緣生法 我說卽是無 亦爲是假名 亦是中道義).” 연기를 공이라고 하는 것도 결국은 하나의 언어적 시설에 지나지 않는다. 중도는 분별 작용을 넘어서 개념이나 언어적 사유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데서 열리는 세계이다. 여기에서 초기 불교의 중도 사상이 대승불교에 와서는 공사상의 철학적 배경이 되었고 또 이 공사상은 대승의 종교적 실천 수행의 길을 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국대 불교학과
'공 부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마음이 곧 부처일까 (0) | 2022.08.22 |
---|---|
청와대 관광 (0) | 2022.06.19 |
월명암 일오스님 (0) | 2022.02.10 |
5온 12처 18계와 반야심경 (0) | 2022.01.06 |
무아공 연기공 (0) | 2021.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