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28.不受不貪分 (받지도않고 탐하지도않음)

 

須菩堤 若菩薩以 滿恒河沙等 世界七寶 持用布施 若復有人 知一切法無

수보리 약보살이 만항하사등 세계칠보 지용보시 약부유인 지일체법무

 

我得成於人 此菩薩 勝前菩薩 所得功德 何以故 須菩堤 以諸菩薩 不受福

아득성어인 차보살 승전보살 소득공덕 하이고 수보리 이제보살 불수복

 

德故. 須菩堤白 佛言 世尊, 云何菩薩 不受福德 須菩堤, 菩薩所作福德

덕고. 수보리백 불언 세존, 운하보살 불수복덕 수보리, 보살소작복덕

 

不應貪著 是故說 不受福德.

불응탐저 시고설 불수복덕.

 

받지도 말고 탐내지도 말라

"수보리야, 보살이 항하 모래수 같은 세계에 가득찬 칠보로 남을 위하여 베풀고

어떤 사람이 내가 없는 일체법의 근본을 알아서 그것이 습관이 될 것 같으면

그 공덕은 앞에서 말한 공덕 보다 매우 많을 것이니라.

왜냐하면 모든 보살은 이러한 복덕을 받지 않기 때문이니라. "

수보리 부처님께 여쭈되

"세존이시여, 어떤 것이 '받지 아니하는 복덕'입니까"

"수보리야, 보살이 자기가 지은 복덕에 집착하지 아니하고,

밝은 분께 바치면 항상 밝은 분을 향하게 되니, 이것을 '받지 아니하는 복덕'이라고 하느니라"

 

수보리야,

오랜만에 부처님께서 불러보는 이름이죠?

그런데 이렇게 이름부르는데 심오한 뜻이 있습니다.

사실 부처님께서 수보리야 하고 이름 불렀을 때 강의 다 끝난 것입니다.

아는 사람은 여기서 부처님의 큰 뜻을 봐 버려야 합니다.

금강경 처음할 때 이렇게 이름을 불렀고 지금도 불렀어요.

처음에도 제가 그런 말을 했는데 지금도 그런 말을 했습니다.

그 뜻이 어디에 있는지 파악한 사람 있습니까?

한 마디로 이를줄 알아야 해요.

그래야 깨끗한 도인의 말이 됩니다.

때뭍지 말아야 하고

생각이 붙어도 안되고

뜻이 붙어도 안됩니다.

이제 금강경강의도 얼마 안남았으니까

연구해보세요.

수보리야!

여기에 모든 답이 들어있습니다.

만약 보살이 항하의 모래수와 같은 세계에 가득찬 칠보를 가지고 보시하더라도

만약 또 어떤 사람은 일체법이 我가 없음을 알아서

인욕忍辱을 얻어 이르면 이 보살은 앞의 보살이 얻은 공덕보다 수승하리라.

번역이 좀 난해해졌는데 한 마디로 인욕이 가장 수승하다는 말입니다.

(수승=뛰어나다)

그동안 금강경은 진리 한 구절을 읽거나 간직한 사람의

복이 위대하고 뛰어나다고 했는데

여기서는 인욕이 그 어떤 복보다도 뛰어난 복이 된다고 했습니다.

왜냐면 진정한 인욕은 我가 없음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我가 없음을 알다.......

이것 대단한 말입니다.

그리고 쉽게 하기 어려운 말이고요.

사람들은 쉽게 부처님의 말씀을 말해요.

그러나 참으로 인욕이 되어서 말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인욕이 된다는 말은 곧

무아를 마음 깊은 곳에서 체득했다는 말입니다.

부처님 말씀이나 선사의 말은 체득함이 중요하지 그냥 아는 것은 아무 소용없습니다.

여기 많은 사람들이 다녀갑니다.

어떤 사람은 20년을 불교한 분도 오고....

2~3년만에 불교의 오의를 깨달은 사람도 오고

남을 가르치는 법사님이나 스님들도 옵니다.

모두 와서 자기가 아는 것은 말해요,

그런데 진정으로 법을 알고 말하는 사람은 보기 드믑니다.

모두 남들도 알고 있는 말을 하거나

기억 속에 있는 지식을 나열합니다.

그러면 제가 한번 툭 건드려봅니다.

아, 참 공부많이 하셨군요.

그런데 그 공부에 약간 흠이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이러이러한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어떻습니까? 하고 건드려봐요.

그러면 즉시 반발을 합니다.

그러면 또 '제가 틀린 것이 아니고 님께서 틀렸습니다' 해봐요.

그러면서 그것을 어찌 그렇게 봅니까 하고 자꾸 건드려요.

그러면 금방 반응이 옵니다.

얼굴이 뻘개서 스님은 깨달았습니까?

누구의 법을 받았습니까? 하고 물어요.

그러면서 말이 거칠어지고

어디서 들은 이야기를 막하다가 남 아랑곳하지 않고 휙 나가버립니다.

그렇게 하면 사람들에게 자기의 찌꺼기를 남기고 떠나는 것인줄 몰라요.

이 법은 많이 아는 것이 문제가 아니고 얼마나 평등해졌나....

남을 얼마나 존중하나....

인욕은 어느 정도 되나.....

부처님의 말씀을 단 1초도 잊지 않고 실천하고 있나...이것이 중요합니다.

아무리 많이 알아도 말씀을 체득하지 않으면

아는 것을 자랑하는 것 밖에 안됩니다.

부처님은 한 마디로 말씀하십니다.

아무리 공덕을 쌓고 금강경을 거꾸로 외우고.... 금은 보화로 복을 지어도

我가 없음을 알고 인욕을 실천하는 것 보다 못하다......

아무리 다녀보아도 부처님의 말씀만큼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말씀은 없습니다.

부처님은 먼저 인욕을 실천하라 하지 않아요.

먼저 무아를 알라고 합니다.

너는 없다.....

무엇이 너인가?

온갖 자연의 요소가 모여서 너의 몸이 되었는데 그것은 너가 아니다. 자연이다.

진정 너만의 너는 어디에 있느냐?

무엇을 너의 몸이라고 하겠느냐?

수많은 지식이 모여서 너의 마음이 되었는데

그 지식을 다 돌려주고 나면 무엇이 너의 마음인가?

언어.....말 .....이것도 하나의 요소요,

사람이 정하여놓은 의미의 나열인데....

그 의미가 정말 옳던가....

그런 의미를 다 버리면 무엇을 너의 마음이라 하겠는가?

너는 없도다.....

이렇게 무아를 먼저 알게 해줍니다.

금강경의 상(相)은 모양입니다.

마음에서 한 생각이라도 일어나면 그것이 바로 상입니다.

진실을 아는 사람은 아무 말이 없어야 합니다.

사람들이 말하는 의미란 모두 마음이 만든 허망한 의미인데

어찌 말로서 진실을 보이려고 하겠어요.

말 자체가 진실이 아닌 표현인데 어찌 표현으로 진실을 보이겠습니까?

그래서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생각하지 않아요.

한 생각이라도 일어나면 모두 허망한 꿈이 일어난 것입니다.

이런 사상이 금강경 사상입니다.

無相, 이것이 금강경의 핵심입니다.

그런데 이 말은 곧 無我를 말하는 것입니다.

만약 무상을 체득하면 저절로 무아도 체득하게 됩니다.

부처님은 이렇게 먼저 사물의 이치를 설하시고 깨닫게 하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알지 말고 체득하도록 해야 합니다.

마음에 새겨지는 것 깊이 깨닫는 것

그래서..... 그 진리가 곧 사실이 되어서 저절로 실천되는 것....

이것이 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다음 단계란 바로 인욕입니다. 참음...........

이것은 강제로 참으려하면 안되어요.

억지로 참으려하면 오히려 역작용이 나옵니다.

누루는 것은 한계가 있어요.

무엇인가 있으면 눌러도 없어지지 않습니다.

어딘가 한쪽에 남아있어요. 구석에.....쌓여있어요.

그러다가 못참겠으면 폭발합니다.

그래서 전쟁이 일어나고 .....세상이 어지러워요.

그냥 당연한 것을 세워서 참으라하면 그대로 실천되기 어렵습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윤리 교육이 실패하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어요.

학생들은 취업이나 시험에 마음이 가 있어요.

그런데 어떻게 당연한 윤리가 체득되겠습니까?

그렇게 가르치기 때문에 실패하는 것입니다.

먼저 당연한 윤리를 실천하기 위해서

부처님처럼 사물의 진실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너는 없느니라.........

이것을 먼저 깨닫게 해주어야 해요.

그리고 그것을 체득했으면 다음으로

당연한 이런 저런 윤리를 실천하라고 하면

한번에 노력할 것도 없이 들은 즉시 실천됩니다.

공공장소에서는 예의를 지켜라.

남들 앞에서 잘난 채 하지 마라.

항상 겸손해라.

남을 배려해라.

그리고 인욕해라..........

인욕은 동서양의 미덕입니다.

모든 성인들이 한결같이 한 말이 인욕입니다.

이런 것을 넉근이 실천됩니다.

예수님께 제자가 물었어요.

얼마나 참아야 합니까?

왼 쪽 뺨을 때리면 오른 쪽 빰을 내주어라.

몇 번을 참아야 합니까?

7번을 참아라.

제자가 듣고 정말 어떤 일을 7번 참았어요.

그런데 8번째 또 일이 생겼어요.

그래서 예수님께 물었습니다.

얼마나 더 참아야 합니까?

네가 그와 같은 수모를 77번 당한다 하여도 참아라.

유명한 이야깁니다.

이 말은 영원히 참으라는 말입니다.

그런데 과연 영원히 참을 수있을까요. 불가능할 거예요.

요즘 사람들은 단 3번도 참기 힘든데 어떻게 77번을 참습니까?

그런데 불교를 공부하면 가능합니다.

나는 없다.라는 사상이 이것이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어요.

체득! 깨달아야 합니다.

가슴에 깊이 새겨져야 가능해요.

만약 불자가 1000번의 수모도 못참는다면 무아를 모르는 것입니다.

무아가 실천되지 않으면 인욕을 모르는 것입니다.

영가스님은 육조스님의 말 한마디에 깨달았어요.

본래 무상(無常)하지도 않고 신속함도 없는 줄을 왜 모르느냐?

이 말 한 마디에 깨달았어요.

무엇을 안 것이 아니고 깨달은 것입니다.

아~본래 무상도 없고.빠름이라는것도 본래 없는 것이었는데.하고 깨달음 것입니다.

이 법은 하나를 깨달으면 동시에 모든 것을 깨닫습니다.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세밀하게 다 알듯.....

세상사 일에 대하여 예의에 대하여.아름다움에 대하여.겸손에 대하여. 포용에 대하여.......

사랑에 대하여.깨달음과 동시에 다 꿰뚫어요.

그래서 하나를 알면 모든 것을 안다고 한 것입니다.

무뎌질 것은 무뎌지고 예민할 것은 예민해져요.

영가 스님은 한 마디에 모두 깨달은 것입니다.

그래서 깨달았다고 하지, 알았다고 하지 않습니다.

알면 그 부분만 알아요. 그 앎도 어느 때가 되면 잊어버려요.

누가 날보고 야! 똥, 그렇게 더럽게 굴지 마라.라고 말하면

금방 불구부정을 잊고 마음에서 내내 찜찜해합니다.

물론 불경을 좀 읽었다고 겉으로는 표현을 하지 않으나

내내 찜찜한 것이 있어요.

그러다 드디어 폭발하고 말아요....원초적인 모습이 보여요 ....ㅎㅎ

그래서 알지 말고 깨달으라고 하는 것입니다.

수많은 공덕보다도 수많은 복덕 보다도 더 큰 공덕은 인욕입니다.

인욕은 금방 그 효과가 나타나요.

서산스님은 한번 화를 내면 100년의 공덕이 무너진다고 하였지만

반대로 한번 참으면 100년의 공덕을 쌓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상권에서 온 몸을 갈갈이 찢는 고통도 참아냈어요.

그래서 부처님이 되었습니다.

여러분도 인욕을 실천해야 합니다.

도를 닦음도 중요하지만 복이 수승해야. 하고 싶은 것을 합니다.

복이 없으면 세상에 나아가지 못하고 초야에서 이름도 없이 살다가 갑니다.

무슨 까닭인가.

“수보리야, 모든 보살은 복덕을 받지 않는 까닭이니라.”

자, 여기서 부처님은 전혀 반대의 말로서 복의 수승함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참으면 복이 수승하다고 한 이유는 복덕을 받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어요.

참으면 복이 크다고 해놓고.어찌하여 복을 받지 않는다고 하였습니까?

복이 크다면 복을 받아야 할 것인데 복을 받지 않는다고 하였어요.

모다 생각나는 대로 말해보세요.

무불

▶ 왜 참으면 복을 받지 못한다고 했겠습니까?

눈송이

▶ 받을 자도 없습니다....^*^

혜림수

▶ 오고감이없기때문이지요

해인

▶ 복을받아야 할 곳은 세상 받아야하는 이는 고통속의 중생

혜륜

▶ 보살은 했다는 상도 없기 때문에...

무이심

▶ 참는다..복을 받는다..하면....함이 있으므로...

눈송이

▶ 복이란 짓고도 지은바가 없기때문아닌가요..

무이심

▶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걸리므로...

해인

▶ 자아로서 복을받나 그 자아는 세상의 자아이기에 복을준이는 바로 세상의 자아

삥~~혜륜님과 눈송이님이 근사치입니다.

보살은 했다는 상이 없습니다. 참았다는 상도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복을 받을 것도 없습니다.

만약 복을 받으면 윤회합니다. 생사윤회

보살은 무심으로 해요. 진정 참았다면 무아를 성취한 사람입니다.

그 사람은 행할 사람도 없고 행을 한 것도 없으므로 복을 받지 않습니다.

조심해요. 그래서 보살은 윤회가 끊어지고 대열반에 듭니다.

그러니까 참음도 열반에 이르기 위한 것이지

다시 꿈 속에서 허망한 부귀를 얻기 위함이 아닙니다.

참음은 단지 하나의 일일 뿐, 밥 먹는 일 화장실 가는 일

자는 일 손님접대하는 일처럼 일상사일뿐 무엇을 짓기 위함이 아닙니다.

만약 복을 원하면.원하는 마음이 있으면 큰 복이 되어 다음에 부귀로 살겠으나........

보살은.무아를 체득한 사람은 .원하는 마음이 없습니다.

그래서 얻어지는 것도 없고 참음도 하나의 일일뿐.다음 생의 고리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열반에 들어 윤회를 중지하는 것입니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이 복덕을 받지 않습니까. ”

“수보리야, 보살의 지은 바 복덕은 응당 탐착하지 않음이니

이 까닭에 복덕을 받지 않는다고 말하느니라.

무엇을 해도 원함이 있으면 원하는 대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원함이 없으면 얻어지는 것도 없어요.

얻는 것이 없어야 대평안해집니다.내 몸조차 없어야 평안해요.

몸이 있으면 그것 자체가 불행의 그릇입니다.

경을 읽어도 원함이 있으면 이루어집니다.

집을 팔게 해주소서.....하고 신묘장구대다라니 계속 읽으면

희안하게 집이 팔려요.

살려주소서....하고 단번에 신묘장구대다라니 천독을 하면

쉬지 않고 하면 살려주십니다.

그러나 그런 것을 바라지 않고 모두 버리게 하여주소서.....

하나도 갖지 않게 하소서.기도하게 하소서,,,,제발....()

내 안에 아무것도 세우지 않게 하소서....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고.언제나 겸손하고.고요한 마음.부처님의 마음을 회복하게 하소서.....

하면서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외우면 희안하게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아무 마장도 붙지 않고....생각이 비워지고 평안하게 됩니다.

저는 30년간 법당에 들어가 신중단과 각단에 다니면서 예배하면서 발원한 것이 있었어요.

항상....쉬어가고 쉬어가게 하소서....했어요.

희안하게 각단에 앞에 서면 이 발원이 저절로 나와요.

그러더니 기어이 한번 쉬게 되었어요.

수십년 발원이 어느날 이루어진 것입니다.

기도는 여러분의 자유로 합니다.

원하거나 원하지 않거나.그러나 처음에는 원해도 자꾸 시간이 지나면서

나중에는 원함이 없고....오히려 버려져야 정상으로 발전해가는 것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